젠킨스 셋팅업무를 맡게되었다.
서버에 설치는 되어있는 상태로, 자동빌드 및 배포작업을 할 예정이다.
생성
원하는 디렉토리 위치에서 New item을 생성한다.
이름을 입력해주고 FreeStype project를 선택해주었다.
프로젝트 셋팅
General은 기본적인 설명정도만 작성하고 "소스 코드 관리" 를 확인한다.
Git을 선택하면 Repository URL 을 입력하는 란이 있다.
URL만 입력하면 다음처럼 빨간 문구가 뜰텐데,
아래 Credentials 셋팅을 해주면 해결된다.
제일아래 살짝 보이는 Branches to build에도 빌드할 브랜치를 입력해준다.
아래셋팅에 대한 설명도 간단하게 적겠다.
빌드유발 (빌드 시점)
- "빌드를 원격으로 유발" - 스크립트를 통해 원격으로 빌드
- "Build after other projects are built" - 다른 프로젝트 빌드 완료 후 자동으로 빌드
- "Build periodically" -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빌드
- "Build when a change is pushed to GitLab" - GitLab에 변경사항이 push될 때 자동으로 빌드
- "GitHub hook trigger for GITScm polling" - GitHub 저장소 변경 시 빌드를 트리거함
- "Poll SCM" -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변경사항이 있으면 빌드
빌드환경
- "Delete workspace before build starts" - 빌드 시작 전 작업 공간 삭제
- "Use secret text(s) or file(s)" -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
- "Add timestamps to the Console Output" - 콘솔 출력에 시간 추가
- "Inspect build log for published build scans" - 빌드 로그로 스캔 결과 확인
- "Terminate a build if it's stuck" - 빌드가 멈춘 경우 자동으로 종료
- "With Ant" - Ant 빌드 도구 사용
빌드툴 셋팅
1. Plugins > Available plugins 빌드툴을 설치해준다.
메이븐은 Maven Integration plugin, 그레이들은 Gradle Plugin을 설치했다.
2. Tools에서 빌드버전을 설정해준다.
3. 프로젝트에서 build step을 추가한다.
프로젝트에 맞게 골라쓰면 되겠다.
Maven은 Goals에 package -DskipTests를 추가했다.
'Back-End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JDK버전을 늘려보자 (0) | 2025.01.17 |
---|---|
MySQL 셋팅을 해보자. (0) | 2024.12.10 |
[MYSQL] 리스트 조회 쿼리개선 - 요청속도를 4분의 1로 줄인 건에 대하여.. (2) | 2024.10.17 |